▲ 김원이 국회의원이 산자위에서 정부의 전통살리기 정책에 대한 질의를 하고 있다(출처-김원이 의원실)
|
김원이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산자위 간사, 목포시) 정부가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내놓은 대책인 온누리상품권 업종 완화 효과가 내수살리기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원이 의원은 22일 보도자료를 통해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정부가 온누리상품권 가맹 업종 기준을 완화했지만, 대상 영업장 중 신규 가맹률은 8%(364곳)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며 “학원·병원 등 생활밀착형 업종이 포함됐으나 전통시장 또는 골목형 상점가 내에 있는 영업장만 해당돼 이용자가 가맹 여부를 파악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김원이 의원이 중소벤처기업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온누리상품권 등록 완화 대상 영업장은 전국 총 4544곳으로 추정되며 업종별로는 학원 914곳, 병·의원 및 약국 2,733곳, 동물병원 49곳, 노래방 848곳이다. 올 8월 기준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수는 총 12만 5,000여 곳이다.
업종 기준이 완화된 지난 9월 10일부터 10월 10일까지 한 달간 신규 가맹점은 총 364곳으로 학원 85곳, 병·의원 및 약국 229곳, 동물병원 7곳, 노래방 41곳으로 신규 가맹률은 8%에 불과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한 달간 신규 가맹점에서 쓰인 결제액은 총 2억 7,700만원으로 병·의원 및 약국이 1억 9,20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학원이 6,700만원으로 집계됐다.
김원이 의원은 “업종완화 대상의 가맹률을 늘리는 방안과 함께 사용자 입장에서 가맹여부를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대책 등을 보완해야한다”며 “근본적으로는 업종완화 대상 4,500여곳 추가만으로는 내수 살리기에 한계가 있다. 온누리상품권과 지역화폐를 병행하여 전통시장 및 지역상권 살리기의 취지를
함께 살려야한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온누리상품권 결제액은 3조 563억원으로 우리 국민이 한 달에 쓰는 결제 규모는 2,547억원 정도다.
|